검색결과 리스트
전자 제품/Computer Tips에 해당되는 글 16건
- 2014.03.18 Microsoft의 live.com 계정 만들기 (8)
- 2013.04.28 다음팟 광고 제거 (4)
- 2012.06.20 삼성 SSD, S470? 830 지금 시점에서 선택은... (2)
- 2012.06.19 SONY VAIO 신제품, S13P 클린 설치 하기 (4)
- 2012.06.13 네이트온 경고 메시지, "설정 파일을 내려받지 못했습니다." (1)
- 2012.05.31 네이트온의 꼼수, 추가 설정 속이기?
- 2012.04.23 Adobe CS6, Photoshop 정식에서 추가될 기능, 흔들림 보정(디블러링) 기능 (1)
- 2012.04.02 League of Legends(LOL;리그오브레전드), d3dx9_39.dll 파일 에러
- 2011.11.14 Windows 단축키 팁
- 2011.05.10 포털 사이트 광고 제거 레지스트리
글
OneNote 2013이 PC/Mac용으로 무료로 공개되면서, 로그인을 위해서 Microsoft 계정이 필요해졌다.
Onenote 2013 다운로드(http://www.onenote.com/Download)
기존의 계정이 hotmail.com 계정인데, 앞의 account가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옛날 계정인지라... 현재 사용하고 있는 phader로 등록하니 이미 있는 계정이기에 등록 실패, 그래서 outlook.com 계정으로 등록을 했다.
여기서... 문득 호기심에, live.com 계정을 만들 수 있을까... 하고 웹에 검색했으나, 가장 최근에 포스트된 글들(2011년)을 참고하여 등록하려고 하니 live.com 선택이 불가능했다.
그럼 아예 생성이 불가능한 걸까?
아니... 의외로 쉬운 방법으로 생성이 가능했다.
아예 초보자 기준으로 스크린샷을 넣어 설명한다.
우선 https://account.live.com 으로 접속하면 하기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그럼 우측 하단의 [지금 등록] 버튼을 클릭하여 새로운 계정을 생성한다.
위의 계정 생성 과정이다. 아마 위 화면에서 새로운 메일 주소를 만들려고 하면 outlook.kr, outlook.com, hotmail.com 으로만 생성이 가능하다.
예전에는 하단의 언어 설정 부분을 한국어에서 영어로 바꾸면 live.com 이 나왔는데, 지금은 outlook.com, hotmail.com 두 가지만 나온다. 그러니 괜히 설정을 영어로 바꾸지 말고 그냥 한국어인 상태에서 위 세 가지 도메인 중 하나로 계정을 생성한다.
이제 계정을 생성했으면 만든 계정으로 로그인을 한다. 그럼 우측 상단에 등록했던 이름이 뜨고, 그 곳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열린다.
여기서 빨간 부분의 [계정 설정]을 클릭한다.
그럼 아래와 같은 계정 설정 화면으로 넘어간다.
이 화면에서 위 빨간 부분인 [계정 별칭]을 선택하면 이메일에 대한 추가 계정 등록이 가능하다.
[계정 별칭]을 누른 후 아래 [별칭 추가] 버튼을 눌러보자.
그럼 별칭 추가 화면으로 넘어가며, 도메인 부분을 누르면 기존에 없었던 몇 가지 도메인으로 등록이 가능하다.
그런데? 아쉽게도 여기에 live.com 도메인은 없다... 물론 언어를 영어로 바꿔도 마찬가지다.
그럼 이제 우측의 [개인 정보]를 눌러보자.
계정에 대한 설정이 가능한데, 이 내용을 다 입력할 필요는 없다. 다만 국가/지역이 "한국"으로 되어 있던 것을 "미국"으로 바꾸고 저장 버튼을 클릭한다.
그리고 다시 별칭 추가하러 가서 도메인을 선택하면 위와 같이 live.com 도메인 선택이 가능하다.
이제 원하는 계정으로 live.com 도메인을 생성하면 된다.
위와 같이 live.com 계정을 추가했다. 다행히 사람들이 몰라서 그런지 원했던 계정명이 남아서 뒤에 쓸데없는 번호를 붙일 필요 없이 계정 생성이 가능했다.
다들 원하는 live.com 계정 선택에 성공하시길...
설정
트랙백
댓글
글
hosts 파일의 가장 아래에 다음 한 줄만 넣으시면 됩니다.
127.0.0.1 amsv2.daum.net
hosts 파일 경로(윈7 기준)
C:\Windows\System32\drivers\etc
막상 입력해도 파일이 저장이 안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건 관리자 권한이 없어서 그렇습니다.
Win버튼을 누르고 "메모장" 또는 "notepad"라고 입력하면 [메모장] 혹은 [notepad]라고 뜰텐데,
그걸 그냥 실행하지 마시고 마우스 우클릭 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눌러서 실행하시고,
여기서 [파일] - [열기; Ctrl+O] 누르신 다음에, 파일명 란에
C:\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
을 복사해서 넣고 [열기] 누르시면 바로 파일이 열립니다.
거기에 위 주소를 입력하시면 되구요.
2013/10/13 추가
위 입력 문구를 아래와 같이 변경하시면 광고 제거 됩니다.
127.0.0.1 display.ad.daum.net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최근에 인텔 기반의 SANDFORCE 모델들의 보안 알고리즘 문제로 인한 리콜이 들어가면서
SSD 모델은 삼성 쪽으로 많이들 관심을 갖는데요,
특히 SATA2 만 지원이 되는 상황에선 더 고민이 앞섭니다.
가격 차이가 약간 있는데 저렴한 S470으로 사야하나, 아니면 830으로 가야하나...
두 제품의 스펙적인 차이를 간단히 정리해 봤습니다.
모델명 |
삼성 S470 |
삼성 830 | |||||
용량 |
64G |
128G |
256G |
64G |
128G |
256G |
512G |
품명 |
MZ-5PA064/KR |
MZ-5PA128/KR |
MZ-5PA256/KR |
MZ-7PC064/KR |
MZ-7PC128/KR |
MZ-7PC256/KR |
MZ-7PC512/KR |
SATA3 연속 읽기 |
미지원 |
최대 520MB/s |
← |
← |
← | ||
SATA3 연속 쓰기 |
미지원 |
최대 160MB/s |
최대 320MB/s |
최대 400MB/s |
← | ||
SATA2 연속 읽기 |
최대 250MB/s |
최대 250MB/s |
← |
최대 270MB/s |
최대 270MB/s |
← |
← |
SATA2 연속 쓰기 |
최대 150MB/s |
최대 220MB/s |
← |
최대 160MB/s |
최대 255MB/s |
← |
← |
SATA3 Random Read |
미지원 |
최대 75,000 IOPS |
최대 80,000 IOPS |
← |
← | ||
SATA3 Random Write |
미지원 |
최대 16,000 IOPS |
최대 30,000 IOPS |
최대 36,000 IOPS |
← | ||
SATA2 Random Read |
최대 31,000 IOPS |
← |
← |
최대 47,000 IOPS |
← |
← |
← |
SATA2 Random Write |
최대 11,000 IOPS |
최대 20,000 IOPS |
최대 21,000 IOPS |
최대 16,000 IOPS |
최대 29,000 IOPS |
최대 35,000 IOPS |
← |
캐시 메모리 |
SAMSUNG 256MB DDR2 SDRAM cache memory |
SAMSUNG 256MB DDR2 SDRAM cache memory | |||||
컨트롤러 |
SAMSUNG ARM base 3-core Controller |
SAMSUNG 3-core MCX Controller | |||||
스토리지 메모리 |
SAMSUNG 32nm Toggle DDR NAND Flash memory |
SAMSUNG 20nm Toggle DDR NAND Flash memory | |||||
크기 |
100mm x 69.85mm x 9.5mm |
100mm x 69.85mm x 7mm | |||||
유효 전력 |
0.24W(Typical) |
0.127W(Typical) | |||||
유휴 전력 |
0.14W(Typical) |
0.078W(Typical) | |||||
허용 전력 |
5V±5% |
5V±5% | |||||
신뢰도 |
150만 시간 |
150만 시간 | |||||
무게 |
최대 64g |
최대 68g |
← |
최대 61g |
← |
최대 62.5g |
← |
인터페이스 |
S-ATA 3.0Gbps |
S-ATA 6.0Gbps(S-ATA 3Gb/s, S-ATA 1.5Gb/s 호환 가능) |
동일한 SATA2 환경에서도 확실히 나중에 나온 모델의 830이 장점이 많습니다.
특히 64G, 128G, 256G 모델 간의 차이가 발생하기도 하니 이 부분에 유의하고 제품을 선택하세요.
설정
트랙백
댓글
글
SONY VAIO 제품 사용하시는 분들 중에서 가장 마음에 안드는 부분이 아마도
함께 설치되는 잡다한 소프트웨어들 일텐데요,
그로 인해서 전부터 바이오 사용자 분들 사이에선 클린 설치라는 것에 많이들 관심을 갖었습니다.
클린설치란 무엇일까요?
http://cafe.naver.com/notevaio/480387
VAIO Cafe의 로아님께서 작성해준 글 입니다.
클린 설치는 바이오 해당 모델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드라이버를 손쉽게 구할 수 있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으며
바이오 프로그램들(특히 펑션키 사용 및 프로그램의 활성화)을 구하기 힘든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제가 이번에 확인한 방법은, 이번(2012년 여름)에 출시한 신제품 SVS, SVZ, SVE, SVT 모델 등에 적용이 가능하다고 생각됩니다.(혹시 하기 방법으로 클린 설치가 불가능하다면 답글로 꼭 알려주세요)
일단 준비물은 간단합니다.
1. 복원 DVD 혹은 USB 드라이브 - 필수
2. 복원 영역이 살아있는 내장 디스크(HDD 혹은 SSD) - 권장; 없어도 무방합니다.
※ 주의점 ※
대다수의 바이오 관련 프로그램들은 이 과정을 통해 선택 설치가 가능합니다.(Power Management 등의 소프트웨어는 설치 불가)
다만, 바이오에서 제공해준 각종 프로그램(오피스, 포토샵, 에버노트, 백신 등)의 어플은 이 방법을 통해 설치가 불가능합니다.
대부분 기간 제한이 있어서 사용하는데 큰 필요가 없지만 혹시라도 사용하려는 프로그램이 있으신 분들은 이 부분 참고해 주세요.
그럼 클린 설치를 시작해 보겠습니다.
1. 노트북을 껐다가 [ASSIST] 버튼을 눌러 복원 모드로 시작해 주세요.
만약에 내장 디스크에 복원 영역이 없다면 DVD나 USB로 부팅하셔서 시작하셔도 됩니다.
2. 복원 영역으로 복구 작업이 시작되면 하단과 같은 화면이 나올 겁니다.
그리고 연이어... 계속 이런 화면들이 나오구요,
핫픽스가 설치되네요.
복원할 드라이버에 대한 압축이 풀리고...
닷넷 프레임워크4가 설치되고 있죠.
사진이 너무 많은 페이지를 차지하니 3개씩 묶겠습니다.
내장 그래픽, 블루투스, 이더넷 드라이버가 설치되었고...
외장그래픽, 터치패드, USB 3.0 드라이버가 설치됐습니다.
이제 큰 화면으로 보시면... 무선랜카드, 그리고 VAIO에 쓰이는 C++ Runtime, VAIO Improvement(사용자 개선 프로그램)이 깔리네요.
사실 뒤에 두개는 설치 안했으면 하지만 여기서 잘못 잘라버리면 드라이버 설치가 완료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3. 여기까지 진행하면 위 화면에서 보시듯이 19%까지 진행됩니다.
그리고 하단과 같은 메시지가 나오며 재시작이 되죠.
재시작이 되고 나면 해상도가 노트북에 맞게 조정됩니다. 깔끔한 화면이 나오죠.
그러고 나서 또 한 번 재시작이 됩니다.
그럼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소프트웨어 설치가 들어갑니다.
이때의 시작 화면이 다음과 같죠.
4. 여기서부터가 시작입니다.
이 화면이 나오면 작업관리자를 키거나(단축키 [Ctrl]+[Shift]+[ESC]),
두 번째 재부팅에서 "환영합니다" 라는 메시지에서 [Ctrl]+[Alt]+[DEL] 키를 누른 후 [작업관리자 시작]을 눌러주세요.
그럼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작업관리자에서 [VAIO Care Rescue]를 선택하고 [작업끝내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그럼 설치가 중단되고 바로 재시작이 됩니다.
5. 재시작 후 잔여 드라이버가 설치되고 다시 재시작이 되며 다음 화면을 보이며 복원 과정이 완료됩니다.
이제 처음 시작하듯 기본 설정을 해 줍니다.
6. 윈도우즈 기본 정보 입력 - 언어 설정 - 지역별 설정 및 사용자 이름 및 컴퓨터 이름 입력 - 암호 입력
위 과정이야 간단하니 손쉽게 끝나죠? 이 과정을 모두 마치면 윈도우 초기 설치 완료 상태가 됩니다.
자, 아무것도 없습니다... 이제부터 나머지 소프트웨어를 설치해 보겠습니다.
9. 내 컴퓨터를 엽니다. 그리고 [RECOVERYUFD]라는 이름의 드라이브로 들어갑니다.
10. 폴더 안에 있는 [autorun]이란 폴더로 들어갑니다.
11. 그리고 폴더 안의 [AutorunUI]라는 파일을 더블 클릭해서 설치를 시작합니다.
그럼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구요,
당연히 [예]를 누릅니다.
12. 하단과 같은 메시지가 뜹니다. [확인]을 클릭해 줍니다. 그리고 그 아래의 메시지에서 [예]를 선택하세요.
13. 이제 하단과 같은 메시지가 나옵니다.
14. 여기서 함정이, 보통 '아 안되나보다...'라고 생각하고 포기하는데
자, 11번 과정의 [AutorunUI]라는 파일을 다시 실행해 봅니다. 그럼 위와 똑같은 과정이 지나고
13번 과정이 아닌, 아래와 같은 메시지가 나옵니다.
15. 추출 과정이 끝나고 나면 하단의 창이 뜹니다. [동의]를 클릭 눌러주시면 됩니다.
이 과정에서 "DatabaseSetup의 작동이 중지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뜨면 그냥 무시하시고 [취소]를 누르세요.
안뜨는 경우도 있습니다.
16. 잠시 후 VAIO Care가 하단의 스크린과 같이 뜹니다. 그리고 하기 창이 열립니다.
※혹시라도 창이 열리지 않았다면 우측 하단의 [고급 도구]를 선택하시고, 열리는 창에서 [복원 및 복구]를 선택하세요. 이때, 다른 항목 없이 [시스템 복원]이라는 항목 밖에 없다면 윈도우를 재시작 하시기 바랍니다. 재시작된 후에 VAIO Care를 실행시키고 [고급 도구] - [복원 및 복구]를 선택하시면 "복구에서는 컴퓨터 시스템을 공장 출하..."라는 메시지 창이 뜹니다. [아니오]를 눌러주세요.
그 다음 펼쳐진 창에서 [소프트웨어 및 드라이버 다시 설치]를 선택하세요. 그럼 위와 같은 화면이 뜹니다.
17. 이제 하기 창에서 원하는 드라이버나 프로그램만 선택해서 설치하시면 됩니다.
설치되는 화면이죠... 위 작업이 마치면 재시작이 됩니다.
18. 이제 몇몇 설정을 변경하는 화면 입니다. 본인의 취향에 맞게 선택해 주세요..
전 [활성화] - [아니요]를 눌렀습니다.
19. 고생하셨습니다. 여기까지면 간단한 클린 설치가 완료 됐습니다.
이제 본인의 입맛에 맞는 다른 프로그램을 깔고 설정하시면 됩니다. ^^
이 클린 설치는... 솔직히 조금 비는게 있습니다. 개인적으론 사용하지 않는 바이오의 관리 프로그램들(전원관리 등등)이라 신경 안쓰는데요. 아쉬운 분들이 계시더라도... 어쩔 수 없네요;;; 개별 프로그램들이 풀리지 않아서요..
설치하느라 수고 많으셨습니다.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얼마 전부터 네이트온 시작하면
"설정 파일을 내려받지 못했습니다.
업그레이드를 중단합니다. [Error108]"
라는 메시지가 뜨고, 확인을 눌러야지만 되는 현상이 발생했는데요,
네이트온의 광고 차단을 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Host 파일에 nateon.nate.com 주소가 들어가면 메시지를 띄우고
불편함을 줘서 사용자에게 그냥 광고를 보게 하려는 수작 같네요...
네이트가 최근에 특수한 기능 개선이 들어간 것도 아니고, 단순 메신져 형태로 변화가 없는데요
혹시 이 문구도 보기 싫고, 광고도 보기 싫다고 하시면
그냥 이전 버전을 다운 받으시면 될 것 같습니다.
하단 버전은 올해 1월에 올라온 4.1.6.1 (2113) 버전이고,
글 작성일자 기준 최신 버전은 4.1.10.1 (2290) 입니다.
티스토리 업로드 파일 제한이 10메가라서 분할로 올려야 하네요.
전 이 버전으로 다운그레이드 해서 쓰고 있습니다.
P.S: 분할 압축으로 올리니 압축 툴이 없으면 해제가 되지 않아 자동 압축 해제 파일로 만들어 다시 올립니다.
그리고 이 파일로 설치한 이후, 네이트온을 실행시키면 업그레이드에 대한 내용이 나옵니다.
이 메시지 무시하시고, 설정에서도 네이트온 자동 업데이트 옵션을 꺼주시면 그대로 사용 가능합니다.
설정
트랙백
댓글
글
국내에선 아직까진 네이트온이 PC 메신져에서 1위 자리를 고수하고 있는데요,
이 네이트온을 설치 또는 업데이트를 할 때 다음과 같은 설치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이 화면을 보면 아시겠지만, 네이트온 이외의 다른 프로그램을 추가로 설치하죠.
요즘 포털사이트들 보면 이런거 많습니다... 네이버도 이런 식으로 툴바 설치하는 등... 잘 모르면 그냥 설치하고 넘어가겠지만
어느 정도 PC 사용을 할 줄 안다면, 저런 쓰잘데기없는... 용도도 없고, 기능도 허접하기 짝이 없는 애드웨어들이 내 PC에 깔린다는게 허용되지 않죠.
그래서 위의...
[네이트온 보안 무료백신 V3 Lite 설치]
[다음클리너 설치]
[네이트 서치세이프]
좌측의 클릭을 지웠는데... 뭔가 이상하죠? 네이트온이 굵에 표시되어 있고, 좌측의 + 표시로 트리가 나오는 걸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펼쳐보면... 젠장, 이런 식으로 눈속임을 하는군요...
위와 같은 식으로... 또 눈속임 입니다.
참, 저런 식으로 속여서라도 자사 세팅을 사용자 PC에 하고 싶나... 하는 생각이 드는데요,
클릭도 귀찮습니다... 잘 보면 위의 [설치 형태 선택]을 할 수 있는데요,
이걸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메뉴가 펼쳐집니다.
그럼 여기서 [최소 설치]를 선택하면 달랑 네이트온만 설치하게 됩니다.
개인적으론 네이트온보다 마이피플을 선호합니다. PC용으로라도 말이죠...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이번에 출시된 Adobe CS6의 포토샵에 엄청난 기능이 들어갑니다.
이미지 디블러링(Image Deblurring)이란 기능인데요,
흔들린 사진을 보정해 주는 기능이라고 합니다.
공개된 샘플을 첨부합니다.
이 사진은 흔들린 상태로 찍힌 사진이죠.
이걸 보정하면 하기와 같은 이미지로 전환이 된다고 합니다.
정말 놀랍죠?
이 기능이 한국에서 개발공헌이 높다고 하네요. :)
지금까지 흔들린 수 많은 사진들... 이젠 지우지 말고 보정하세요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주말에 처음 LOL을 해봤습니다만,
설치하고 실행하니 DirectX 9 문제 중
d3dx9_39.dll 파일이 없어서 아래와 같은 에러메시지가 나오더군요.
이 문제가 발생할 때, 첨부 파일을 받으셔서 압축 푸시고
하기 폴더에 넣어주시면 간단히 해결됩니다.
Windows7 64bit
C:\Windows\SysWOW64
그 외 버전의 Windows
C:\Windows\System32
설정
트랙백
댓글
글
Win + D - 모든 창 내리기
Win + E - 윈도우 탐색기
Win + F - 검색 창
Win + G - 윈도우 가젯 보기(Win7 only)
Win + L - 화면 잠금
Win + R - 실행
Win + T - 창 선택(Win+Tab과 약간 다름)
Win + X - Windows 모바일 센터
Win + [Pause Break] - 시스템 정보
Win + ↑ - 창 최대화
Win + ↓ - 창 줄이기, or 창 최소화
Alt + [Print Screen] - 해당 창 스크린캡쳐
Win + [숫자키] - 작업표시줄에 해당 순서에 있는 창 활성화(Win7의 작업표시줄에 고정 기능 사용 시, 해당 프로그램 실행)
설정
트랙백
댓글
글
하기 사이트 방문시 광고가 뜨지 않게 해줍니다.
조선일보
다음
네이트
네이버
야후
YTN
anti-ad.reg <- 클릭하여 다운로드 받으세요
다운받으셔서 실행하시면 하기와 같은 화면이 뜹니다.
여기서 [예]를 클릭하여 주시면 아래와 같은 메시지가 한 번 더 뜹니다.
다시 [예]를 클릭하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뜨면서 작업이 완료됩니다.
이 레지스트리로 각종 이미지 및 플래시 광고가 차단됩니다.
RECENT COMMENT